‘14년도 하반기 ODA 전문가 모집
* ODA 전문가 : 개발조사 및 프로젝트형사업의 발굴, 형성, 시행, 평가 등을 지원하기 위해 KOICA가 협력국에 파견하는 전문가
1. 모집개요 : 총 21국 30명
파견지역 | 파견국가 | 분야 | 인원 | 지원접수처 |
국별 | 전체 |
아시아 | 라오스 | 건축, 개발효과성 | 각 1명 | firstagape@koica.go.kr | ehpyun@koica.go.kr |
방글라데시 | 교육 | 1명 | ks1lee@koica.go.kr |
베트남 | 기후변화환경 | 1명 | s2h@koica.go.kr |
스리랑카 | 교육 | 1명 | keungil@koica.go.kr |
캄보디아 | 농업 | 1명 | sanghwalee@koica.go.kr |
파키스탄 | 농촌개발(새마을운동) | 1명 | johnk@koica.go.kr |
필리핀 | 보건, 농업, 교육 | 각 1명 | sungheecho@koica.go.kr |
솔로몬군도 | 보건 | 1명 | hjson@koica.go.kr |
인도네시아 | 공공행정, 교통인프라, 수자원 | 각 1명 | momotheoddball@koica.go.kr |
동티모르 | 교육 | 1명 | uidonc@koica.go.kr |
아프리카 | 가나 | 보건, 교육, 산업에너지 | 각 1명 | yinseocho@koica.go.kr |
에티오피아 | 교육 | 1명 | ethio_koica@yahoo.com |
우간다 | 농업 | 1명 | song@koica.go.kr |
DR 콩고 | 보건, 농업 | 각 1명 | ptocheia@koica.go.kr |
세네갈 | 농업 | 1명 | yoojh@koica.go.kr |
케냐 | 교육 | 1명 | jenkim@koica.go.kr |
튀니지 | 공공행정 | 1명 | cielflower@koica.go.kr |
코트디부아르 | 개발효과성(ODA 정책) | 1명 | kimsc@koica.go.kr |
중남미 | 페루 | ICT, 보건 | 각 1명 | jiun@koica.go.kr |
볼리비아 | 보건 | 1명 | koicabol@gmail.com |
에콰도르 | 보건 | 1명 | geonfive@koica.go.kr |
※ 분야별 의망국가 1~3지망까지 지원 가능(심사 결과에 따라 희망국가 중 파견 예정) ※ 분야별 희망국가가 2개국 이상일 경우, 직무수행계획서상의 해당국가의 수행계획을 포함하여 작성 요망
2. 자격요건
국가 | 분야 | 자격요건 |
<공통자격요건> □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각호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자 □ 해당분야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가지고 관련 분야 3년 이상 실무경력이 있는 자 또는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자 □ 한글 및 MS 오피스 프로그램 활용 가능자 □ 영어능통자/영어로 원활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자(영문보고서 작성 및 공식 회의 등에서 영어로 의사소통) |
라오스 | 건축 | □ 아래 경력조건 중 1개 이상에 해당하는 자 - 건축설계, 건설사업관리, 감리 또는 시공 경력 10년 이상인 자(건축 관련 석사 학위, 박사학위, 국내 건축사 및 기술사 소지자는 각 2년, 5년, 5년을 경력으로 합산) □ 해외 건설사업 관련업무 유경험자 우대 □ 병원건축 수행 유경험자 우대 |
개발효과성 | □ 개발학 또는 교육학 전공자 □ 개발협력 현장 및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방글라데시 | 교육 | □ 교육분야 전공자 (박사학위 소지자 우대) □ 석사학위를 가지고 15년 이상 관련분야 실무경력이 있는 자 □ 해외 사업 수행 경험자 |
베트남 | 기후변화환경 | □ 기후변화환경정책 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스리랑카 | 교육(직업훈련) | □ 교육(직업훈련) 분야 전공자 □ 관련분야 다수 유사 업무경력 보유자(직업훈련 외 교육 전반 자문 가능자 우대)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캄보디아 | 농업 (지역개발/ 새마을운동) | □ 농업 혹은 지역개발분야 전공 혹은 관련 전문가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파키스탄 |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 | □ 해당분야 경력 8년 이상 또는 아래 경력 요건을 충족하는 자 - 5급 이상 공무원 및 공공기관의 2, 3급 또는 책임연구원 상당의 경력자 - 4년제 대학 부교수 또는 책임연구원 상당의 경력자 □ 해당분야 공공기관, 국제기구 및 INGO 등 근무 유경험자 우대 □ ODA 사업(개도국 농촌개발 사업)참여 경험자 우대 |
필리핀 | 보건 | □ 공중보건학 및 의학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필리핀 봉사단원, 관리요원 및 청년인턴, NGO 사업 경험자 우대) |
농업 | □ 농업경제 및 농촌개발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필리핀 봉사단원, 관리요원 및 청년인턴, NGO 사업 경험자 우대) □ 현지어(타갈로그) 가능자 |
교육 | □ 교육(직업훈련교육 또는 고등교육)분야 전공자 □ 관련 경력 3-7년 보유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NGO단체 경력자 우대 |
솔로몬군도 | 보건 | □ 보건 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인도네시아 | 행정제도 (전자정부, 행정개혁) | □ 공공행정 관련 전공자 (전자정부 및 IT지식 보유자 우대) □ 전자정부 관련 국제협력 정책형성, 연구 또는 사업실무 경력 소유자 □ 동남아시아 또는 개도국 경험자 |
교통인프라 | □ 교통계획, 교통행정 관련 분야 전공자 □ 교통인프라 정책 및 전략수립, 사업계획 수립 등과 관련한 실무 및 연구경력 3년 이상 □ 동남아시아 또는 개도국 관련 국제협력 또는 연구 활동 수행경험자 |
수자원 | □ 환경(수자원:상하수도, 홍수관리 등)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수자원분야 사업 발굴 및 관리, 운영 등) |
동티모르 | 교육 | □ 교육분야 전공자 □ IT 및 IT 교육 관련 경력 보유자 우대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가나 | 보건 | □ 보건 분야(공중 보건학) 전공자 □ 리서치 가능자 우대(양적 및 질적 분석 수행) |
교육 | □ 교육 분야 전공자 □ 직업 훈련 사업 유경험자 우대 □ 리서치 가능자 우대(양적 및 질적 분석 수행) |
산업에너지 | □ 산업공학, 에너지/자원공학, 환경공학 전공자 □ 리서치 가능자 우대(양적 및 질적 분석 수행) |
에티오피아 | 교육 | □ 교육 분야 전공자 (직훈련교육분야 전공자 우대 ) □ 개발도상국에서 직업훈련분야 3년 이상 원조사업 경험자 |
우간다 | 농업 | □ 농업경제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DR 콩고 | 보건 | □ 보건 분야 전공자(의사면허증 취득자 선호(외과, 내과 등))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불어 가능자 우대 |
농업 | □ 농업 분야(농촌개발)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우대(봉사단, 자문단 등) □ 불어 가능자 우대 |
케냐 | 교육 | □ 교육 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세네갈 | 농업 | □ 농업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영어 또는 불어 가능자 |
튀니지 | 공공행정 | □ 공공행정 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불어가능자 우대 |
코트디부아르 | 개발효과성 | □ 개발학 관련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불어 능통자 |
페루 | ICT | □ IT 분야(컴퓨터 또는 정보통신학과) 전공자 □ IT 분야 실무경험 5년 이상 (SI 컨설팅 실무경험 3년 이상 포함) □ 영어 또는 스페인어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자 |
보건 | □ 보건분야 전공자 □ 관련 분야 실무경력 10년 이상 □ 해외사업 수행 경험자 □ 영어 또는 스페인어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자 |
볼리비아 | 보건 | □ 보건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에콰도르 | 보건 | □ 보건분야 전공자 □ 개발도상국 원조사업 경험자 □ 영어 또는 스페인어 구사 가능자 |
3. 단계별 세부 과업범위 ㅇ 분야별 ODA 분야 전문가
사업수행단계 | 과업범위 | 산출물 | 제출기한 |
국별협력전략 (CPS) 수립 | ㅇ 국별협력전략(CPS) 및 K-CPS 분야별 전략 수립 또는 업데이트 ㅇ 상기 관련 기초조사 수행 | ㅇ 국별협력전략(CPS) 내 섹터별 지원전략 ㅇ KOICA 분야별 지원전략 | ㅇ 투입 3개월 이내 초안 작성 및 6개월 이내 최종안 작성 |
사업발굴 | ㅇ 협력국 내 분야별 공여국 회의 참여 및 결과 보고 ㅇ 공여국 전체 회의 시 분야별 자료 작성 ㅇ 사무소에 분야별 자문 제공 | ㅇ 분야별 공여국 회의 결과보고서 ㅇ 관련 분야 회의 자료 ㅇ 자문 결과 보고서 | ㅇ 자료 및 보고서 작성 요청 접수/회의 참석 후 1주 이내 |
ㅇ 분야별 수원국 및 타 원조기관의 사업추진 현황 및 전략 조사 | ㅇ 분야별 지원 현황 및 전략 조사 보고서 | ㅇ 투입 3개월 이내 초안 작성 및 6개월 이내 최종안 작성 |
ㅇ 수원국 PCP 작성 자문 | ㅇ PCP | ㅇ 자료 및 보고서 작성 요청 접수 후 3주 이내 |
ㅇ 필요 시, 분야별 프로그램 자료조사 및 형성 자문 - PBA(Program Based Approach/ 프로그램 기반접근법)형 사업 및 BS(Budget Support, 예산지원) 사업 형성 포함 | ㅇ 분야별 현황 및 프로그램 형성 자문 보고서 | ㅇ 보고서 작성 요청 3개월 이내 |
사업기본계획 수립 | ㅇ 신규 사업 형성 및 선정을 위한 협력국 정부와의 협의 및 단위사업 기본계획 초안 작성 시 분야별 기술 자문 제공 | ㅇ 단위사업 기본계획 초안 | ㅇ 보고서 작성 요청 후 3주 이내 |
사전조사 | ㅇ 사업형성조사 지원 - 본부 사전형성조사단 현지조사 전 현지 기초자료 제공 및 현지 방문, 관계자 면담 등 조사수행 지원 | ㅇ사업형성조사보고서 | ㅇ 보고서/문안 작성 요청 후 3주 이내 |
실시협의 | ㅇ 사무소 주도의 실시협의 추진 지원 및 시행 약정, R/D 초안 작성 지원 | ㅇ실시협의결과보고서 ㅇRD초안 | ㅇ 실시협의 실시 후 2주 이내 |
집행계획 | ㅇ 사무소에서 집행계획 수립 시 분야별 전문성 지원 | ㅇ 단위사업 집행계획 | ㅇ 계획수립 요청 후 3주 이내 |
사업관리 | ㅇ 해당 협력국내 분야별 사업 관리 및 자문 - 프로젝트 및 DEEP 사업, 민관협력 사업, 국제기구 협력사업의 관리 및 자문 | ㅇ 자문보고서 | ㅇ 자문 요청 후 2주일 이내 |
ㅇ 월별 (사업공정) 보고서 | ㅇ 매월 말일 |
검토 및 평가 | ㅇ 사업 착수 계획 점검 및 보완 사항 자문 | ㅇ 점검 및 보완사항 자문 보고서 | ㅇ 자문 요청 후 3주 이내 |
ㅇ 중간점검 및 평가 - 사업현장 방문 및 관계자 면담 - 사업 추진 현황 파악 및 분석 | ㅇ 중간 점검 및 평가 결과 보고서 | ㅇ M&E 실시 요청 후 3주 이내 |
ㅇ 종료 및 사후평가 - 사업현장 방문 및 관계자 면담 - 사업 결과 및 성과 파악· 분석 | ㅇ 종료 및 사후 평가 보고서 | ㅇ 평가 실시 요청 후 3주 이내 |
연구조사 | ㅇ 파견분야 연구조사 실시 - 파견분야 내 특별 과제별 연구 조사 포함 | ㅇ 테마별 연구보고서 | ㅇ 보고서 작성 요청 이후 3개월 이내 초안 작성 및 6개월 이내 최종안 작성 |
ㅇ 분기별보고서 | ㅇ 매분기 말일 |
ㅇ 연간보고서 | ㅇ 4분기 차 말일 |
ㅇ 종료보고서 | ㅇ 계약 종료 3주 전 |
기타 | ㅇ 기타 사무소장이 지정하는 업무 ㅇ 필요 시 상기의 산출물들에 대한 영문본 작성 |
ㅇ 분야별 ODA 분야 전문가
사업수행단계 | 과업범위 | 산출물 | 제출기한 |
기획 단계 | 건축 기획 조사 | ㅇ 신규 사업 중 건축 구성요소가 포함된 사업에 대해 건축기획조사 업무 수행 및 협조 | ㅇ 사전타당성조사 (작성 혹은 지원) | ㅇ 조사 이후 15일 이내 |
ㅇ 실시협의 보고서 (작성 혹은 지원) | ㅇ 협의 이후 15일 이내 |
입찰 준비 | 입찰 지원 | ㅇ 건축관련 업체 선정(설계,감리,시공)을 위한 입찰계획 수립 ㅇ 입찰안내서, 세부입찰계획(방법, 절차,시기), 입찰설명회, 평가, 계약체결 등 | ㅇ 입찰계획, 기술평가 계획 및 보고 | ㅇ 입찰 예정일 4주 이내 |
ㅇ 입찰결과보고, 계약체결계획 및 보고 | ㅇ 입찰 후 15일 이내 |
설계 단계 | 설계 관리 | ㅇ 설계 품질관리 - 기본 및 실시설계 도서검토 - 인허가 및 설계일정 관리 - 설계 인터페이스 관리 - 설계 경제성 및 지속가능성 검토 | ㅇ 기본설계도서검토 ㅇ 실시설계도서검토 ㅇ 법규검토 ㅇ 인허가검토 ㅇ 업무협의록 및 회의록 등 | ㅇ 기본설계 납품일 |
ㅇ 인허가 및 법규관리 - 수원국 관계법령 검토 - 지역 건축 특성 파악 및 설계 반영 - 인허가 절차확인 및 업무 지원 |
ㅇ 사업관계자 의견 반영 및 조율 - KOICA, 수원기관, PMC 및 설계자 간 의견 수렴 및 조율 - 설계 단계별 정기적 보고 추진 |
시공 단계 | 시공관리 | ㅇ 진행중인 건축사업의 시공,감리 감독 ㅇ 주요기성관리 및 검토 ㅇ 소규모 사업의 경우 시공감리 수행 ㅇ 최종 준공승인 및 인수인계 관리 | ㅇ 월간보고서 | ㅇ 익월 첫째주 까지 |
ㅇ 분기별 보고서 | ㅇ 3,6,9,12월 4째주 |
ㅇ 준공 보고서(필요시) | ㅇ 준공검사 이후 1개월 이내 |
유지관리단계 | 하자보수관리 | ㅇ 준공 후 유지관리 단계에 있는 사업에 대한 사후관리 | ㅇ 결과보고서 | ㅇ 유지관리 파견 이후 15일 이내 |
기타 | 평가 | ㅇ 단위사업 중간, 종료, 사후평가 참여 및 지원 | ㅇ 단위사업 중간, 종료, 사후평가 보고서 | ㅇ 평가 업무 기준에 따름 |
기타 | ㅇ 분기별 국가건축매뉴얼 보고서 작성 및 보완 ㅇ 기타 사무소장이 지정하는 사업에 대한 관리 업무 |
4. 파견기간, 신분 및 대우 □ 파견기간 : 1년 ㅇ 1년 경과 후, 계약연장 필요 시 활동 성과를 평가하여 연장 가능 □ 신분 및 대우 ㅇ 신분 : 전문가 신분으로 KOICA 해외사무소에 파견되어 활동 ㅇ 보수 : 파견국가 및 KOICA 전문가 등급(1~5급)*에 맞추어 관련 내규에 따라 결정 - 평균 : 연 6천만원 ~ 1억 3천만원선 / 체재비 포함** * 전문가 등급: 붙임2 참조(KOICA 전문가파견사업에 관한 기준) ** 30일 이내 기간: 전문가 등급에 맞추어 관련 내규에 따른 1인당 체재비 30일 초과 90일 이내 기간: 전문가 등급에 맞추어 관련 내규에 따른 체재비 70/100 지급 90일 초과 180일 이내 기간: 전문가 등급에 맞추어 관련 내규에 따른 1인당 체재비 60/100 지급 180일 초과 기간(계약 연장 이후 포함): 전문가 등급에 맞추어 관련 내규에 따른 체재비 50/100 지급 - 왕복항공료, 현지활동비, 출장비, 해외여행자보험, 긴급후송서비스 별도 지원
5. 전형절차 및 지원서 접수 □ 전형절차 ㅇ 1차 : 서류전형 ㅇ 2차 : 면접심사(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함) / 일반면접과 영어면접으로 구분하여 진행 · (국내 체류자) 국내 면접심사 및 해당 사무소와 전화·화상 인터뷰 실시 · (파견국 체류자) 현지 면접심사 및 국내 본부와 전화·화상 인터뷰 실시 · (제3국 체류자) 국내 및 해당 사무소와 전화·화상 인터뷰 실시 ㅇ 기타 : 신체검사, 신용조회, 신원조회 및 제출서류 확인 통과 필요(면접전형 합격자에 한함)
□ 지원서 접수기간 : 2014.10.23(목) ~ 11.2(일) 24:00 자정까지(한국표준시, GMT +9) / 11일간 ㅇ 제출방법 : 이메일 송부 (해당 국가별 지원서 접수처 및 전체 접수처 총 2곳) ㅇ 제출서류 : 지원서(붙임 양식) 및 직무수행계획서(자유 양식)* * 제출서류 미제출 시 서류 탈락 ㆍ분량 : 5페이지 이내(경력 및 향후 기여 방안 등) ㆍ본문 내용의 글자 크기는 14포인트로 하며, 용지크기는 A4사이즈 ※ 참고자료 검색 : ODA 정보센터(http://www.oda.go.kr) 및 ODA 도서관(http://tmslib.koica.go.kr/)
□ 문의처 ㅇ 선발 과정 전반 : 사업총괄팀 ODA 전문가 선발 담당자 ☎ 031)740-0879, 0858/ehpyun@koica.go.kr
6. 기타사항
□ 서류심사 결과 및 향후 추진일정은 2014.11.14(금) 이후 개별통지 예정 / 2014.12월 중 파견 예정 ㅇ 최종선정자에 한하여 학력, 자격 및 경력증명서 등 관련 서류 원본 접수 예정 ㅇ 파견 전 사전교육(12월 중) 불참자는 파견에 제한에 있을 수 있음(해외 체류자 경우 협력단과 협의 하에 제외 가능) ㅇ 제출한 지원서 등 제반 서류가 허위로 판명될 경우, 신용조회, 신원조회, 신체검사 결과 파견 부적격자로 판명될 경우 합격을 취소함
붙임 1. 지원서 양식 1부. 2. 전문가 등급기준 1부. 끝.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