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월 10일 화요일

베트남 전통 축제 - 보트 경주

보트 경주
보트경주는 베트남에서 아주 오랫동안 이어져 왔는데, 이 보트경주는 단지 경기가 아니라 농업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사람들간에 물을 위한 기도를 하면서 물의 신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식이기도 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다오 싸(Ðào Xá)와 푸토(Phú Tho), 두 종류의 보트만이 경주에 참가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새 장식을 뱃머리에 장식한 남성을 상징하는 보트와 물고기 모양으로 장식 한 여성을 상징하는 보트를 말하는 것으로, 이 두 보트는 음양의 조화(하늘의 새:양, 물의 물고기: 음)를 의미한다. 물 위에서의 움직임은 물의 신을 깨우게 되므로, 보트경주는 늦은 밤에 시작되어 새벽녘에 끝난다. 어부들은 보트 경주 동안 물고기를 많이 잡게 해달라는 소망을 기원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해전에서 이긴 장군을 기리기 위해 보트 경주가 치뤄지기도 한다.

오늘날 보트경주는 베트남 전역의 강, 호수, 바다가 있는 지역에서 열리는 많은 축제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로 등장하는데, 이는 신성한 의식을 넘어 수많은 관중들을 끓어 모으는 매력적인 스포츠 행사로 자리잡았다. 이렇듯 보트경주는 단체의 힘을 보여주고 완성하는 행사가 되었다. 


http://multiculture.dibrary.net/html_contents/htmls/2013_NI/2013m_ni000019.html

베트남 전통 축제
  • 베트남 전통 축제

  • 베트남의 전통 축제는 주로 사람들이 여가를 많이 즐기는 봄과 가을에 열린다. 베트남에서 봄과 가을은 행사를 개최하고 사람들이 즐기기에 알맞은 기후 조건이기 때문이다. 베트남 전통 축제의 일반적인 과정과 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다양한 종류의 축제에 대해 소개한다.
주요내용
형성과 의미
  • 형성
    • 베트남의 전통 축제는 ‘신’이라고 불리는 국가의 전설적 영웅 등의 신성한 인물들을 기리거나 공동체의 전통을 보여주는 행사이다. 신들의 형상은 각각 인간의 고귀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외세의 침략과 맞서 싸우고 새로운 땅을 개척하거나 의술을 펼치는 등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던 전설적인 보국 영웅 등이 신성한 인물에 해당한다. 이렇듯 베트남의 축제는 국가와 공동체에 이익을 가져다준 사람들을 기리는 행사라고 할 수 있다.
    • 경쟁과 오락, 정신적 측면이 서로 어우러지는 장을 이루는 축제를 통해 우수한 전통적 가치가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는 자연스러운 교육이 이루어졌다. 베트남 사람들은 세대에서 세대로 ‘물을 마실 때에도 근원을 상기하는’ 우수한 전통을 보존해왔다.
  • 의미
    • 베트남의 전통 축제는 문화적 행사이며, 역사의 현장에서 사람들이 창조하고 발전시켜온 정신적 산물의 한 형태이다. 또한, 모든 사회 계층의 문화적, 영적 가치의 창조와 즐거움을 위한 요구를 보여준다.
    • 축제는 또한, 민족의 자연적·국가적 뿌리를 찾는 행사이기도 하다. 공동체나 마을, 지방, 국가는 축제를 통해 그 힘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축제에서의 같은 신을 경배하면서 사람들은 한데 뭉쳐 어려움을 함께 이겨내고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기 위해 애쓰는 것이다. 더불어 사람들이 자신의 슬픔과 걱정을 표출하며 신들에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기원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과정
  • 일반적으로 모든 축제는 다음 세 단계를 거친다.
  • 준비
    • 준비 과정은 축제 기간이 다가오기 전에 하는 준비와 축제 직전의 준비로 나뉜다. 축제 기간이 다가오기 전의 준비는 이전 축제가 끝남과 동시에 시작된다. 축제 날이 다가오면 사람들은 각종 의례 물품들과 예복, 장식품을 갖추고 의례가 펼쳐질 장소와 조각상들을 청소한다.
  • 축제 당일
    • 의례, 향 피우기, 각종 놀이 등 다양한 행사들이 행해진다. 이러한 행사들은 관광객들을 모으고 축제 시기를 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 축제의 마무리
    • 축제에 참가한 모든 사람에게 감사를 표하며 사당(祠堂)을 닫는다.
의식
  • 축제에서는 많은 의례가 진행되며, 축제의 준비에서부터 마지막까지 엄격한 규율을 따라야 한다. 일반적으로 축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식들이 따른다.
  • 조각상 씻기기(관욕 의식)
    • 축제 전날 밤 자정에 진행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관욕 의식이 물의 행렬 의식에 앞서 진행되며, 관욕의식을 시작하기에 앞서 신에게 시작을 알리는 의식을 먼저 거쳐야 한다.
    • 신에게 의복을 입히는 의식은 신의 지위에 따라 그에 맞는 의복과 모자를 입히는데, 특별한 지위가 없는 신이 있다면 숭배단에 신상을 올려놓는다. 그런 후에 신상을 가마에 앉힌 후에 축제의 시작을 알릴 준비를 마치게 된다.
  • 행렬 의식
    • 축제는 신의 행렬, 수호신의 행렬, 왕족의 행렬, 물의 행렬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신의 행렬과 물의 행렬이 가장 인기가 있다. 행렬의 대상이나 축제를 주최하는 기관의 종류, 참가자들의 성격에 따라 행렬의 내용과 의미에는 차이가 있다. 신의 행렬과 물의 행렬은 축제가 시작되기 전과 끝나기 직전에 진행된다.
    • 축제는 신성한 존재인 신에게 바쳐지는 것으로, 주로 마을 회관의 마당에서 펼쳐지는데 이러한 공간은 종교적 행사와 축전을 함께 진행하기에 넉넉해야 한다. 신의 행렬 의식은 신이 모셔져 있던 장소에서 시작되어 종교의식을 치르는 곳으로 행진하면서 진행된다.
    • 축제가 끝날 때는 신상을 제자리로 되돌려 놓는 행렬이 따른다. 행렬의식이 끝나면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축제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대부분의 축제에서 신을 향한 연설은 매일 이루어지는데, 그 내용은 날마다 다르다.
    • 전통 축제의 행렬에 참가하는 이들은 반드시 18세 이상의 성인 남성이어야 한다. 또한, 신체가 건강하고 성품이 곧은 자 중에서 신중하게 선발된다. 여성들의 경우, 푸 저이(Phu Day) 혹은 하 러이(Ha Loi) 때 진행되는 축제 행렬에는 참가할 수 있다. 베트남에서는 행렬의 일원으로 선발된 사람들은 가문의 영광으로 여겼다.
    • 행렬이 진행되는 동안, 각각의 단계는 그 나름의 상징을 지닌다. 전에는 주로 폭죽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북이나 징을 쳐, 행렬의 출발을 알리고 축제의 마지막 날에는 모든 행렬이 함께 진행되었다.
주요 전통 축제
  • 뗏(Tet)
    • 베트남 최대 연중행사로, 음력 1월 1일(2월 7일~9일) 새해를 축하하는 기간이며, 이 시기에는 일가족이 모여 신년을 축하한다. 뗏이 가까워지면 각지에 꽃장식이 걸리는 등 거리가 매우 화려하게 변신하게 된다. 뗏을 기념할 때에는 꽃을 사용하는데, 북부에서는 핑크의 복숭아꽃, 남부에서는 노란 매화꽃, 중부에서는 매화꽃으로 집안과 거리를 장식한다.
  • 람 뜨랑 투(RAM TRUNG THU)
    • 베트남 추석인 9월 14일에는 아이들을 위한 축복을 비는 날로, 조상에게 자손의 번영을 기원한다. 바이·틀·토우로 불리는 월병과 같은 과자를 먹는 풍습이 있고, 거리는 사자 무용을 하는 사람들이나 북을 치는 아이들로 활기차진다.
  • 푸자이(Phu Giay) 축제
    • 매년 음력 3월 초순에 열리는 푸자이 축제는 베트남 민족의 성스러운 어머니인 리에우한(Lieu Hanh) 성모를 숭배하기 위한 날이다. 성모 숭배 풍습은 타인화(Thanh Hoa)의 포깟(Pho Cat), 응에안(Nghe An)의 덴성(Den Song) 등 많은 지방에서도 존재하지만, 성모의 고향인 남딘(Nam Dinh)성 부반(Vu Ban)현 김타이(Kim Thai)면의 푸자이 축제가 가장 많은 관광객이 모인다. 관광객은 제사에 참여하면서 매우 독특한 전통을 즐기는데, 장엄한 의식과 특별한 민속문화 활동이 조화를 이룬다.
    • 푸자이 축제의 대표적인 의식은 음력 3월 6일 디엔흐엉(Tien Huong)사원에서 고이(Goi)사원으로 이동하는 성모 행렬이다. 성모 행렬의 거리는 1km이며 민속 관현악단의 참여로 매우 장엄하다. 3월 7일 화쯔엉호이(Hoa Truong Hoi)란 한자 구성 활동은 푸자이축제의 가장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글자 구성에는 100명의 사람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제복(노란 옷과 희바지)을 입고 빨간 머리띠와 파란 허리띠를 차는 동시에 2미터 길이의 나무막대를 든다. 여기서 지휘자를 동꺼(Tong co)라고 하는데, 활동이 시작되면 동꺼는 성모에게 글자를 받아서 떠들썩한 징소리와 북소리에 따라 100명에게 의미가 있는 한자를 구성하도록 지휘한다.
    • 축제의 민속문화 활동으로는 디엔흐엉산의 용춤과 자우반(Chau Van) 노래 등이 있다.
  • 바댄(Ba Den)산 축제
    • 매년 봄 음력 12월 30일부터, 구정, 정월, 2월까지 열리는 바댄(Ba Den)산 축제는 따이닝(Tay Ninh)성, 따이닝(Tay Ninh)시에 위치하는 바댄(Ba Den)산에서 개최된다.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호찌민과 다른 남부지방으로부터 많은 사람이 기도하고 관광하기 위해서 찾아온다. 이 축제에서는 종교 신앙의 자유와 베트남의 전통적인 문화도 표현한다.
    • 바댄산에 관한 전설로, 어느 마을 수령의 딸인 댄(Den)은 부모가 다른 마을 수령의 아들과 결혼시키려하자 집을 떠나 바 산(Nui Ba)으로 들어갔다. 그녀는 불교 신자였는데, 서경을 읽고 여기에서 죽어 이 산을 보통 '바댄(Ba Den)산'이라고 부른다. 그 후 응옌(Nguyen)시대에는 그녀를 추모하기 위해 흙 돌상을 만들었고 이를 '영산 성모(Linh Son Thanh Mau)'라고 불렀다.
    • 관광객들은 산 아래에서부터 걸어서 올라가야 하는데, 산 가운데쯤 올라가면 영산 성모의 사당에 들어가서 기도도 하고 휴식을 취한다. 관광객을 위해서 절 안에서는 채식을 항상 준비한다. 관광객이 원하면 절에서 하루, 이틀 머물 수도 있다. 조금 더 올라가면 정산 근처 바로 산신(Son Than) 사당이 있다. 여기에서는 자우디엥(Dau Tieng-베트남에 가장 크고 아름다운 수리공사)호수 전경을 바라볼 수 있다.
  • 꼬로아(Co Loa)사당 축제
    • 매년 음력 1월 6일 오전에 열리는 꼬로아(Co Loa)사당 축제는 마을사람들에게 조상의 침략저항 전통을 되살리는 기회가 되는 행사이다. 꼬로아사당과 안즈엉브엉왕사당은 하노이 시외인 동안(Dong Anh)현 꼬로아면에 위치한다. 꼬로아 사원에는 안즈엉브엉왕조(BC257~208 재위) 때 건설된 꼬로아성이 있으며 내부에는 꼬로아사당이 위치하고 있다.
    • 축제의 행렬에는 민속관현악단이 있으며 꼬로아 마을의 남자들은 가마와 깃발 등을 들고 사당으로 향한다. 사당의 마당은 신에게 바칠 제물을 준비하고 장엄하게 장식한다. 사당 앞에 있는 향상 위는 안즈엉브엉왕의 무기인 궁, 칼, 구리화살 등으로 장식한다. 향상 앞에는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의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한 깔개를 준비한다. 이 의식은 민속 관현악단의 연주로 거행되며 정오까지 진행된다. 마을의 관리자들과 마을사람들은 안즈엉브엉왕에게 생활이 평화롭고 사업이 번성하기를 기도한다.
    • 기도 후 12개 촌 마을사람들의 참여로 행렬을 진행한다. 행렬에는 깃발, 가마, 민속관현악단 등이 참여한다. 넓은 옷을 입고 전통 부츠를 신으며 궁, 칼 등 왕의 무기를 든 촌의 관리자도 행렬에 참여한다. 행렬은 마을 입구로 느리게 이동하면서 마을 입구에서 해산한다. 행렬 후 음력 1월 15일까지 민속놀이를 즐긴다. 마을사람들은 씨름, 그네, hat cheo(전통음악) 노래, 사람장기, 닭차기 등의 놀이를 하고 노인들은 절에 간다.
  • 밧짱(Bat Trang) 도자기마을 축제
    • 밧짱(Bat Trang) 도자기마을 축제는 보통 음력 2월 15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 밧짱은 홍 강 변에 위치하는 오래된 마을이며, 약 600년 전에 응웬(Nguyen)성씨의 사람들이 타인화(Thanh Hoa)성의 빈닌(Vinh Ninh)에서 이곳으로 이주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레(Le), 짠(Tran), 브엉(Vuong), 팜(Pham), 응웬(Nguyen) 등 성씨의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바익토프엉(Bach Tho Phuong)으로 불리는 도자기생산 마을을 설립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마을은 번창하고 있다.
    • 밧짱은 여러 지방의 사람들이 와서 거주하는 곳으로 현지마을 신 외에 그 지방의 마을신도 숭배한다. 음력 1월 25일에는 꺼이네우(Cay neu)라는 장대를 마귀의 진입을 막는다는 의미로 세워두었다. 2월 5일 즈음, 홍 강에서 물행열을 진행하고 그 후에 마을사람들은 사찰의 위패를 사원으로 모신다. 2월 15일(축제의 첫날)에 마을은 큰 식탁에 노랗게 잘 구운 물소 한마리와 성찬 쟁반 6개, 찹쌀밥 쟁반 4개 등을 놓고 마을의 신 숭배식을 진행한다. 숭배 때 각 성씨들은 조상의 향로를 모실 수 있으며, 향로를 모실 때 응웬닌짱(Nguyen Ninh Trang) 성씨(밧짱에 온 첫 성씨)는 노란 양산을 쓰고 가운데에서 보행하고 다른 성씨는 파란 양산을 쓰고 그 옆에서 보행한다. 이전 숭배 때는 과거시험에 합격한 사람만 사원에 들어올 수 있고 마을에서 직책이 있는 사람들은 밖에 있었다.
    • 밧짱축제는 놀이가 많은데 가장 독특한 놀이는 사람장기(사람들이 졸, 포, 상, 사, 마, 왕 등의 역할을 함)이다. 관습에 따라 축제 전에 마을은 품행이 바르고 가장 부유한 2명의 부녀를 여왕으로 선발한다. 1명의 여왕은 나이가 10~15세 정도의 예쁜 처녀 16명을 선택하여 예쁜 옷을 준비한다. 이 처녀들은 1개월 동안 졸, 포, 상, 사, 마 등의 역할을 훈련받아서 축제에 출연할 수 있다.
    • 물행열과 숭배식, 민속놀이와 더불어 마을의 중심지에 위치한 밧짱 도자기시장에서 우수한 도자기 제품도 전시된다.

베트남 궁중음악 냐냑(Nha Nhac - 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 / 응우옌 왕조(Nguyen Dynasty) 목판 (세계기록유산)



베트남 궁중음악 냐냑(Nha Nhac - 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

궁중음악은 무용과 가극을 아우르는 음악의 한 장르로서, 주로 종교 의식이나 궁중에서 행해지는 의례나 공식연회에서 연주되었다 하지만 중국에서 파생된 냐냑(Nha Nhac)이라는 용어는 호 왕조 이후부터 여러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때로는 일반적인 궁중음악을 의미하는가 하면, 때로는 궁중에서의 특별한 의례를 위한 음악을, 혹은 특정 합주 집단 등의 음악 부서를 의미하기도 하였다. 

냐냑의 출현 - 베트남 궁중음악은 17세기부터 생겨났으나 응웬 왕조 (1802~1945) 시기 후에(Hue)의 궁중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궁중 음악은 공식적으로 19세기 초 응웬 왕조의 부흥에 따라 함께 발전하였다. 1947-1948년 즈음, 뜨 꿍 왕후(Madame Tu Cung, 바오 다이 왕의 모친이자, 카이 딘 왕의 부인)이 후에 궁중 음악과 무용을 고수해 나가고자 다시 일부 궁중음악가들을 불러 모으기도 하였다. 1980년대가 되면서 궁중음악은 베트남 문화부와 지역 정부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여, 1990년대에 후에 궁중 음악은 다시 활성화 되었고 후에 궁중 음악은 꾸준히 해외에 소개되어 왔다. 

후에 궁중 음악은 종교 의례 음악, 궁중 의식 음악, 궁중 무용, 실내악과 오페라(궁중 전통 가극 – 뜨엉tuong) 등의 장르로 구분된다.  

초창기의 후에 궁중 음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장르를 포함했다  
  • 하늘과 땅의 신들을 향한 봉헌 의식에 사용되었던 쟈오 냑(Giao Nhac)
  • 응웬 왕족 가운데 공적을 기릴 만한 선조, 공자, 응웬 왕조의 문학자들, 국가적 영웅 등의 사원에서 열렸던 숭배의식에 사용된 미에우 냑(Mieu Nhac)
  • 탄농(Than Nong), 타인 호앙(Thanh Hoang), 싸 딱(Xa Tac) 숭배의식에 사용되었던 응우 뜨 냑(Ngu Tu Nhac)
  • 외교사절의 환영식이나 중요 행사에 사용되었던 다이 찌에우 냑(Dai Trieu Nhac)
  • 궁중의 일반 행사에 사용되었던 트엉 찌에우 냑(Thuong Trieu Nhac)
  • 귀족들의 연회에 사용되었던 옌 냑(Yen Nhac)
  • 왕궁 안에서 사용되었던 꿍 냑(Cung Nhac)

초창기의 후에 궁중 무용은 그 내용이 풍부하여 여러 자리에서 공연되었다. 현재까지 전해있는 11개의 궁중무용으로는 밧 닷(Bat Dat- 쟈오(Giao), 미에우(Mieu), 싸 딱(Xa Tac)을 비롯하여 역대 왕들이나 공자를 기리는 자리에서 공연), 룩 꿍(Luc cung), 땀 띤(Tam tinh), 밧 띠엔(Bat tien), 찌엔 탕 팟(Chien thang Phat), 뜨 린(Tu Linh), 땀 꾸옥 떠이 주(Tam quoc Tay Du - 왕의 생일인 반터(van tho), 왕의 모친의 생일인 타인 터(thanh tho), 왕의 선친의 첩의 생일인 띠엔 터(tien tho), 수호신이나 요정들을 기리기 위한 의례인 무(Mu), 왕좌를 계승할 왕자의 생일인 티엔 쑤언thien xuan 등에서 공연), 찐 뜨엉 땁 카인(Trinh tuong tap khanh-왕국과 백성의 부강을 기원하는 행사인 뚜(tu) 혹은 응우 뚜언 자이 칸 ngu tuan dai khanh 등에서 공연), 누 뜨엉 쑤엇 꾸언(Nu tuong xuat quan-승전, 왕이 즉위식, 음력 5월 2일, 외교사절을 위한 환영식 등에서 공연), 부 피엔(Vu phien - 결혼식에서 왕의 모친이나 왕후, 시녀, 공주를 위해 공연), 룩 찌엣 호아 마 당(Luc triet hoa ma dang-응웬 왕조 시절 왕의 즉위식에서 푸반러우Phu Van Lau 앞에 서서 구경하던 이들을 위한 공연) 등이 있다.

이러한 궁중 음악 및 공연들에서는 다양한 곡들이 연주되었는데, 국가가 쇠퇴하면서 상당 수의 곡들이 사라져 갔으며 그 노랫말만이 일부 남아있다.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곡들로는 무오이 반 응우(Muoi ban ngu 혹은 리엔 보 탑 쯔엉Lien bo thap chuong- 팜 뚜엣 Pham tuyet, 응웬 띠에우Nguyen tieu, 호 꽝 Ho quang, 리엔 호안 Lien hoan, 빙 반Binh ban, 떠이 마이Tay mai, 낌 띠엔Kim tien, 쑤언 퐁Xuan phong, 롱 호Long ho, 떠우 마Tau ma를 포함한 10개의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 롱 당(Long dang), 롱 응엄(Long ngam), 푸 룩(Phu luc), 띠에우 쿡(Tieu khuc), 땀 루언 끄우 쭈엔(Tam luan cuu chuyen - 비를 기원하는 의례에 쓰이던 음악), 당 단 꿍(Dang dan cung), 당 단 돈(Dang dan don), 당 단 껩(Dang dan kep), 타이 빈 꼬 냑(Thai binh co nhac), 봉(Bong), 마부(Ma vu), 만(Man), 남 빈(Nam Binh)이나 남 아이(Nam Ai) 등과 같은 몇몇 실내음악 등이 있다.

응웬 왕조의 궁중 오케스트라는 왕궁의 의례나 연회의 성격에 따라 참여하는 악기의 종류나 개수가 달랐다. 다양한 종류의 오케스트라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냐냑(Nha nhac), 후엔 냑(Huyen nhac), 띠 쭉 떼 냑(Ti truc te nhac), 띠에우 냑(Tieu nhac), 다이 냑(Dai nhac), 꼬 쑤이 다이 냑(Co xuy dai nhac), 냑 티에우(Nhac Thieu), 밧 엄(Bat am), 띠 쭝(Ty chung), 띠 칸(Ty khanh), 띠 꺼(Ty Co) 등이 있다.

후에 궁중 음악은 수 세기전 형성된 탕 롱(Thang Long) 궁중 음악을 계승하여 그 수준을 더욱 발전시켰는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노력이 주목할 만하다.
  • 쩐왕조의 띠에우 냑(Tieu nhac)과 다이 냑(Dai nhac) 같은 이전 왕조의 궁중 오케스트라 일부를 유지해 나감
  • 레 왕조 오케스트라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음악을 창조
  • 탕롱 궁중 음악에서 흔히 등장하는 악기를 그대로 유지,
  • 이전시대의 일부 궁중 무용들을 계승하는 동시에 다양화시키면서 새로운 무용들을 창조
  • 새로운 형식의 실내 음악인 던 까 후에(Ton ca Hue)를 탄생시킴
  • 베트남 기악의 연주실력이나 합주형태의 수준을 향상시킴
  • 당 응와이(Dang ngoai)의 “뜨엉(tuong)”을 계승하여 새로운 형식의 뜨엉인 “뜨엉 낑(tuong Kinh-수도지역의 뜨엉)”을 뜨엉 반(tuong van) 형식으로 발전시킴
  • 15세기 후기의 레왕조 통치기 동안, 홍득(Hong Duc) 지배기에 활용되던 음조규칙(tone regulations)을 계승하고 음악용어와 이론을 발전시킴
  • 배움의 전통을 이어가면서 당시 탕롱 궁중 음악 분야뿐만 아니라 베트남 음악계 전체적으로 유입되고 있던 외국 음악적 요소들을 받아들이고 베트남화하도록 장려

후에 궁중 음악의 특성이라 하면, 중국과 참파의 문화나 불교, 유교의 영향들을 통합, 수용하고 자신의 문화에 맞게 채화하는 과정을 끊임없이 거쳤다는 것이다. 궁중음악은 “뜨엉(tuong)”(핫 보이hat boi) 예술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특히 후에 궁중 음악은 그 유형이나, 장르, 악기의 음색과 종류, 연주하는 곡의 구성, 오케스트라의 구성 등 여러 측면에서 다양성과 풍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듯 후에 궁중 음악은 그 ‘다양성’으로 관객들의 눈과 귀를 만족시켜 준다. 

후에(Hue) 궁중 음악은 웅장하며,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분야이다. 후에의 공식음악으로써 대규모의 오케스트라와 여러 가수, 무용수들 의해 공연되는 궁중 음악은 멜로디 체계가 다단계로 이루어지며 수준 높은 즉흥연주를 요하는 장르이기도 하다

후에 궁중 음악은 베트남 궁중 음악이 남긴 마지막 유산이다. 이것은 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발전해 온 베트남 궁중 음악의 전형이기에, 후에 궁중 음악 자체만으로도 베트남 궁중 음악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오랫동안 보존되어 온 후에의 냐냑 궁중 음악은 2003년 11월 7일에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World Heritage Committee, WHC)에서 ‘인류 무형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Masterpieces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베트남에서는 최초로 등재된 무형문화유산으로, 10년에 걸친 베트남 주정부와 지방정부, 후에 유적보존센터 (Hue Monuments Conservation Centre)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이다. 

--------------------------------------------------------------------------------
http://www.travelvietnam.co.kr/main/publish/view.jsp?menuID=002002001004002

응우옌 왕조의 목판

응우옌 왕조(Nguyen Dynasty) 목판 (세계기록유산)

본문 내 삽입이미지
응우옌(Nguyen) 왕조 시대에는 사회적 기준, 법의 강제적 조항들, 왕과 군주의 삶 및 치적, 역사적 사건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려는 목적으로 궁정에서 여러 조로 된 역사책과 문학 작품을 보급용으로 새기도록하였다. 이로 인해 특별한 형태로 기록을 남길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것이 목판이다. 이런 목판들은 독특하며 독창적인 기록물이다.

응우옌(Nguyen) 왕조의 목판은 다음과 같이 세계 유산으로 평가되었다:

응우옌 왕조(1802-1945)의 목판 34,555개는 그 자체가 고전 및 역사서일뿐만 아니라 공식 문헌자료로서 역사 기록에 도움이 되었다. 그것들은 기록적인 가치와 동시에 예술적인 가치가 있다. 게다가 목판의 제작 기법은 베트남의 목판 인쇄 발달과정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이었음을 보여준다. 목판의 중요성과 높은 가치를 인정한 베트남의 여러 봉건 왕조와 국가 당국은 대대로 이 기록물을 보존하기 위해 힘썼다.  

목판이란 나무로 된 판 위에 중국어로 쓴 글 또는 중국어에서 전사된 베트남어가 역 방향으로 새겨지는 것으로, 응우옌 왕조 시대에 널리 알려진 도서 인쇄 방식이었다. 현재 응우옌 왕조의 목판 34,555개는 베트남 국가기록보관부(State Records and Archives Department of Vietnam) 산하의 제4 국립아카이브 (National Archive Center 4, 달랏 Da Lat 의 옛끼에우(Yet Kieu) 2번 거리에 위치)에 보관되어 있다. 이 귀중한 자료는 대단히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약 1,935권의 책들에 대한 152건의 표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역사, 지리학, 군사(軍事), 입법, 산문 및 운문, 종교-이상-철학, 언어-문학, 사회정치학, 문화-교육의 9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응우옌 왕조 목판은 후에(Hue)에서 응우옌 왕조의 사료편찬위원실(1820년 민망(Minh Mang) 왕 치세에 설립)이 과거에 활동하던 동안 주로 만들어졌다. 목판에는 공식 문헌과 응우옌 왕조의 역사를 담은 목판 이외에도 고전 및 역사책들도 포함되는데, 이는 하노이(Hanoi)에 있는 국자감 문묘(Van Mieu - Quoc Tu Giam)에서 수집하여 민망(Minh Mang) 왕과 티에우 찌(Thieu Tri)의 치세에 후에(Hue)에 있는 국자감(Quoc Tu Giam)으로 옮겨진 것이다. 1960년 이래로, 응우옌(Nguyen) 왕조의 목판은 달랏(Da Lat)으로 옮겨져 있는 상태이다.

목판은 봉건제 이후 기원하여 베트남 봉건 역사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준다. 목판의 대부분은 공식 문서들을 바탕으로 궁정에서 편찬하였는데, 기반으로 하는 공식 문서들은 여러 역사적 시기들을 거치면서 국가 기구들에 의해 주의 깊게 검증되고 관리되었다. 이러한 중요성을 지님에 따라 목판은 봉건 시대의 국보로 여겨졌으며, 허가를 받은 자나 사료편찬실 소속 관리에게만 접근이 허용되었다. 

목판의 제작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는 고난도의 과정이다. 우선 왕이 책을 엮도록 허용하는 칙령을 내리면, 사료편찬위원실의 책임 하에 관련 책들을 연구하고 편집하며 목판을 새기고 인쇄했다. 사료편찬위원실에서는 고서들과 황실 기록들을 연구하여 책으로 엮고, 이를 왕에게 제출하였다. 그 뒤에 원고는 사료편찬위원실로 다시 보내졌고 왕이 제안한 대로 수정된 원고를 정확하게 수정•정리하여 왕에게 올리는 소청과 함께 제출되었다. 원고가 승인되면, 왕의 포고령에 의해 임명된 고관들이 면밀히 통제하는 가운데 목판에 새겨졌다. 이 작업이 완성되면, 목판을 이용하여 책을 인쇄하였다. 책의 인쇄는 오직 왕의 명령 하에서만 가능했다.

사료편찬위원실은 기록 작업을 능숙하게 처리하기위해 숙련된 다수의 조각공이 필요했다. 숙련된 조각공은 나라 전역에 걸쳐 목각으로 유명한 지역 출신으로 골고루 선발되었고, 그 조각 기법들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한 것이었다. 나무판 위에 새겨진 글들은 각 조각공의 온갖 열의를 담고 있었으며, 그렇게 새겨진 목판의 글자 각각은 대단히 섬세하고 예리하다. 각각의 기록은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독특한 예술작품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목판은 역사적 가치 이외에도 예술적 측면이나 능숙한 제작기법 면에서도 가치가 있으며, 베트남의 목판 새김 및 인쇄업의 발달을 보여주고 있다.

몇몇 문서에 의하면 대부분의 목판의 원재료는 감나무와 냐종(nha dong)나무로,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상아빛이 특징인 목재이다. 이런 종류의 목재는 새겨진 무늬의 형태를 보존하기에 적절하며, 수백 년이 흘러도 물리적 상태가 좋은 편이다. 또한 목판을 새기는 데는 배나무와 사과나무가 이용되기도 한다.

현재 남아있는 목판 가운데는 귀중하고 희귀한 목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남일 통지 (다이남녓통찌(Dai Nam Nhat Thong Chi: 위대한 베트남의 통일에 관한 역사)), 대남 실록 (다이남특륵 (Dai Nam Thuc Luc: 위대한 베트남의 왕실 기록)), 컴딘비엣스통지암끄엉뭅 (Kham dinh Viet su thong giam cuong muc: 흠정월사 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越史通鑑綱), 흠정대남회전사례(컴딘다이남호이지엔스레(Kham dinh Dai Nam hoi dien su le: 위대한 베트남 황제들의 통치))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민망(Minh Mang), 티에우찌(Thieu Tri), 뜨득(Tu Duc)과 같은 유명한 왕들이 남긴 시와 문학 작품들도 포함되어있다. 

오늘날에는 이런 종류의 문서들처럼 공식 문헌이나 봉건 왕조의 역사에 관해 기록한 목판들은 베트남에서도 특별히 가치가 높고 희귀한 기록물이며, 또한 세계적으로도 상당히 희귀한 기록물이다.  

이 기록들은 응우옌(Nguyen) 왕조 시기의 황제와 봉건체제 행정부 산하 기구들의 활동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목판은 신뢰할 수 있는 역사의 원천이므로 관련된 역사 자료를 연구하고 비교하며 검토하는 데 일조하여 베트남 역사 분야의 연구 활동에 큰 도움이 된다. 

2009년 7월 29일-31일, 바베이도스(Barbados)의 브리지타운(Bridgetown)에서는 유네스코(UNESCO)의 국제자문위원회(IAC: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회의가 개최되었고, 2009년 7월 30일, 응우옌(Nguyen) 왕조의 목판은 세계기록유산(World Documentary Heritage)으로 공인되었다. 이는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목록에 베트남의 기록 유산이 처음으로 등재된 것이었다. 응우옌(Nguyen) 왕조의 목판은 베트남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도 특히 희귀한 기록자료이다.

2015년 2월 8일 일요일

바틱 자바에서 세계로

바틱 자바에서 세계로 

동남아시아 지역연구총서 12

요시모토 시노부 지음 | 고정은 옮김 | 솔과학 | 2012년 05월 30일 출간

목차

범례
인사말
역자 서문

세계에서 자바로
자바 바틱의 디자인으로 본 위대한 배학

자바에서 세계로 1부
자바 바틱을 모방한 근대의 프린트 바틱
부비에 컬렉션으로 본 동남아시아, 아프리카를대상으로 한 프린트 바틱
카데르디나 컬렉션으로 본 동아프리카에 전래된 프린트 바틱
옛 네널란드령 동인도(지금의 인도네시아)에 전래된 프린트 바틱

자바에서 세계로 2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보이는 현대의 프린트 바틱
아프리카의 프린트 바틱
아시아의 프린트 바틱

자바에서 세계로 3부 
세계로 전개하는 자바 바틱의 날염기법
동남아시아의 날염
일본의날염
호주 원주민의 날염
카리브해 여러 국가의 날염

바틱 논단 [근대의 프린트 바틱]
유럽의 프린트 기술, 그 기원과 발달
산업혁명과 면포의 대량생산
프린트 바틱과 자바의 바틱 제조업
발리 사람들과 프린트 바틱
일본의 프린트 산업과 인도네시아, 아프리카 수출용의 프린트 바틱
캉가 - 동아프라카와 서인도를 잇는 프린트 바틱

바틱 논단 [현대의 프린트 바틱]
사랑스러운 캉가
프린세스는 바틱을 좋아한다? - 마다가스카르 천의 등급
세계를 휘감다 - 동남부 아프리카 잔비아의 프린트 바틱 '치텐게'와 헌옷 '사라우라'
잉카 쇼니바레 - 전수자로서의 아프리카 프린트
서아프르카의 프린트 천의 속사정
아프리카 프린트와 상업 네트워크
아프리카 프린트의 풍경
세계화와 바틱
태국 북구의 산지사회에 확산된 프린트 바틱의 사롱
인도차이나 북부의 프린트 바틱
네팔에 전래된 프린트 바틱

바틱 논단 [날염]
자바 바틱에 매료되어
호주 원주민의 날염
카리브해 지역의 날염

바틱 논단 [모방과 창조]
키치 디자인을 생각하다
프린트 바틱으로 본 모방의 실태

참고문헌
전시작품

바틱이야기 -예술 장르로 승화된 ‘인도네시아 직물의 백미

바틱이야기
  2003/06/20 12:28
미스타킴    조회 1016  추천 10
예술 장르로 승화된 ‘인도네시아 직물의 백미



‘바틱(Batik)’은 옷감의 무늬를 염색할 때 쓰이는 기법으로, 그 어원은 ‘작은 점들이 찍힌 옷감’이라는 의미의 ‘암바틱(Ambatik)’ 혹은 ‘옷감을 묶거나 바느질을 해 문양 낸 부분을 제외한 곳을 염색하는 과정’이라는 의미의 ‘트리틱(Tritik)’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바틱의 염료는 화학염료가 아닌 풀이나 나무의 뿌리, 껍질, 잎에서 축출한 자연의 색채를 사용하고, 디자인은 기하학적인 무늬나 새, 꽃 등을 주로 사용하지만 현재 대량 생산되고 있는 바틱은 흔히 화학섬유와 프린트 염색을 사용하기도 한다.

밀랍, 풀 등을 천에 칠하고 염색하여 문양을 나타내는 바틱과 비슷한 염색 기술을 사용한 흔적은 약 1천500년 전 이집트와 중동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그 예술성은 인도네시아 자바산이 가장 우수하다. 고대 인도네시아의 공주나 귀족 부인들이 옷감에 전통 문양을 염색해 입음으로써 자바왕족에 의해 보존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반 평민들에게도 널리 퍼져 있어 꼭 왕족만의 예술은 아니었으리라 추측된다. 중앙 자바지역에서는 요리나 집안일 못지 않게 바틱 제작 도구를 얼마나 잘 다루느냐가 여자의 솜씨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복잡, 정교한 문양일수록 가치 높아

바틱은 천에 왁스를 입히고 염색을 하는 과정을 반복한 끝에 비로소 멋진 문양이 새겨진 ‘작품’으로 완성된다. 바틱의 천은 보통 면이나 실크를 쓰는데 예전에는 왁스가 잘 스며들게 하기 위해 여러 번 삶은 천을 나무 봉으로 두드려 부드럽게 만들기도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옷감 위에다 흑연이나 목탄으로 초벌 디자인을 한다. 꽃이나 잎, 새, 나비, 물고기, 곤충 외에도 기하학적인 문양들이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역사적으로 기록된 바틱 문양만도 3천 가지에 이른다.

다음은 초벌 디자인에 왁스를 입히는 작업. 왁스는 계속되는 염색 단계를 거쳐 천의 각기 다른 부분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기에 단순하고 큰 문양이 많을수록 가격이 낮고, 복잡하고 정교한 문양이 들어갈수록 그 가치는 높아진다.

작업 횟수가 가격 결정

바틱의 제작과정은 복잡한 편이지만, 여기에 쓰이는 도구들은 의외로 단순하다. 특히 자바인의 순수 발명품이라고 여겨지는 칸팅(Canting)은 구리로 만든 케이스로, 여기에 녹인 왁스를 채워넣고 옷감에 디자인을 입힐 때 사용한다. 또한 바틱에서 반복되는 문양의 기본 단위를 구성하는 구리 도장이라 할 수 있는찹(Cap)은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줄여준다.

왁스가 칠해진 옷감을 염색통에 담가 첫번째 염색이 끝나면, 천이 마르기를 기다렸다가 새로운 색으로 염색할 부분을 정해 다시 왁스를 바른다. 이런 과정을 몇 번 반복해야 바틱이 완성되므로 색깔의 수가 그 옷감의 작업횟수를 알려주고, 바틱 값을 결정하는데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좋은 바틱은 오래 쓸수록 촉감이 좋아지고 색도 안정되어 멋스럽다.


세계 정상들도 입었던 ‘바틱 셔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짧게는 40일, 길게는 6개월 정도 걸려 완성되는 바틱은 ‘인도네시아 직물의 백미’라 불리며 예술의 한 장르로도 인정받고 있다. 전통적인 문양이 계승·발전되고 대중적으로 보편화 돼 지금은 서민들의 예복과 일상복으로도 애용된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전통차림인 남성용 바틱 남방 셔츠는 APEC 정상회담을 할 때 각 국가 원수들이 입기도 했다.

바틱의 생산지로는 족자카르타, 솔로, 마두라 등이 유명한데, 특히 족자카르타에는 여행자에게 제작과정을 보여주거나 가르쳐주는 바틱 공방이 많다. 대부분 가내 수공업 형태지만 요즘에는 기업화가 되어 대규모 생산, 판매형태를 갖추고 있는데 대표적인 대중 브랜드로는 ‘바틱 크리스(Batik Keris)’가 있다. 바틱 드레스를 비롯해 잠옷, 티셔츠, 슬리퍼, 가방, 모자, 침대커버, 식탁보 등 수십 가지 이상의 품목들이 눈을 즐겁게 한다. 자카르타 블럭엠의 빠사라야 백화점 4, 5층에 가면 다양한 브랜드의 바틱을 손쉽게 만나볼 수 있고 가격도 약 5~20달러(한화 약 7천원~2만 5천원)정도면 충분하다. 저렴한 비용으로 인도네시아 명물 바틱을 가져보는 것도 인도네시아 여행의 또 다른 즐거움이 될 것이다.


<이현미 / 대한항공 자카르타 지점> 


와세다대 유네스코 문화유산 - 베트남 후에 연구 실적

와세다대 유네스코 문화유산 - 베트남 후에 연구 실적 

http://vietnam.lah-waseda.jp/archivement.html

中沢信一郎,中川武,西本真一,高野恵子,田口康子,土屋武
「皇城と紫禁城の囲繞壁のゆがみに関する分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527-528,1995.8

田口康子、中川武,西本真一,高野恵子,中沢信一郎,土屋武
「阮朝王宮の配置寸法計画の分析(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529-530,1995.8

土屋武,中川武,西本真一,高野恵子,中沢信一郎,田口康子
「阮朝王宮の配置寸法計画の分析(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531-532,1995.8

西本真一,中川武,高野恵子,中沢信一郎,田口康子,土屋武
「フエ王宮皇城北闕台の復原考察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533-534,1995.8

中沢信一郎,中川武,西本真一,高野恵子,土屋武
「ものさしの用い方と単位長さ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491-492,1996.9

中沢信一郎,中川武,西本真一,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富樫洋之,石原彩子,佐々木太清,柳下敦彦
「阮朝王宮の配置寸法計画の分析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465-466,1997.9

柳下敦彦,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富樫洋之,石原彩子,佐々木太清
「乾成殿の平面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467-468,1997.9

石原彩子,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柳下敦彦,富樫洋之,佐々木太清
「奉先殿の平面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469-470,1997.9

佐々木太清,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富樫洋之,石原彩子,柳下敦彦
「肇廟の構造形式と平面計画における単位長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471-472,1997.9

富樫洋之,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石原彩子,佐々木太清,柳下敦彦
「興廟の構造形式と平面計画における単位長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473-474,1997.9

山内健太,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佐々木太清,小槫哲央,高木直人,柳下敦彦,山岸直子,川嶋彩
「嘉隆帝陵の配置計画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57-158,1998.9

柳下敦彦,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佐々木太清,小槫哲央,高木直人,山内健太,山岸直子,川嶋彩
「長寧宮の配置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59-160,1998.9

中沢信一郎,中川武,西本真一,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佐々木太清,小槫哲央,高木直人,柳下敦彦,山内健太,山岸直子,川嶋彩
「延壽宮の配置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1-162,1998.9

土屋武,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佐々木太清,小槫哲央,高木直人,柳下敦彦,山内健太,山岸直子,川嶋彩
「延壽宮正殿の寸法計画の分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3-164,1998.9

佐々木太清,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小槫哲央,高木直人,柳下敦彦,山内健太,山岸直子,川嶋彩
「肇廟の断面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5)」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5-166,1998.9

高木直人,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佐々木太清,小榑哲央,柳下敦彦,山内健太,山岸直子,川嶋彩
「木造架構接合部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7-168,1998.9

川嶋彩,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佐々木太清,小槫哲央,高木直人,柳下敦彦,山内健太,山岸直子
「紫禁城建中楼の復原考察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9-170,1998.9

山岸直子,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佐々木太清,小槫哲央,高木直人,柳下敦彦,山内健太,川嶋彩
「装飾床タイルの分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1-172,1998.9

小槫哲央,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白井裕泰,高野恵子,土屋武,佐々木太清,高木直人,柳下敦彦,山内健太,山岸直子,川嶋彩
「史料に見られる京城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3-174,1998.9

斉藤有佳里,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王宮の門の分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1-162,1999.9

柳下敦彦,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太廟区・世廟区の配置計画について(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3-164,1999.9

中沢信一郎,中川武,西本真一,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太廟区・世廟区の配置計画について(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2)」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5-166,1999.9

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勤政殿の復原的研究(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3)」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7-168,1999.9

山内健太,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明命帝陵崇恩殿の設計方法の分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4)」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9-170,1999.9

小榑哲央,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阮朝宮殿建築造営に用いられる尺度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5)」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1-172,1999.9

高木直人,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仕口・継手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3-174,1999.9

川嶋彩,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大工道具の分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5-176,1999.9

竹村基,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嘉隆帝陵の配置計画について(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71-272,2000.9

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勤政殿の復原的研究(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2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73-274,2000.9

土屋武,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勤政殿の復原的研究(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75-276,2000.9

中沢信一郎,中川武,西本真一,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ものさしについて(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77-278,2000.9

山内健太,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史料にみられる建物寸法表記の分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2)」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79-280,2000.9

小木曽浩一,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貫の断面形状の分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3)」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81-282,2000.9

斉藤有佳里,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史料にみられる構造形式・装飾形式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4)」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83-284,2000.9

坂本忠規,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白井裕泰,六反田千恵
「平安堂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5)」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85-286,2000.9

一ノ瀬裕行,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高野恵子,川島彩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1・研究方法と問題点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87-288,2000.9

川島彩,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高野恵子,一ノ瀬裕行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2・現存木造遺構のドゥイ・ケオ彫刻絵様分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89-290,2000.9

六反田千恵,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川嶋彩,一ノ瀬裕行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3・五鳳楼初層のドゥイ・ケオ彫刻絵様分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91-292,2000.9

斉藤潮美,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高野恵子,川嶋彩,一ノ瀬裕行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4・漆塗り工程と漆塗り工具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3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293-294,2000.9

小木曽浩一,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59-160,2001.9

竹村基,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
「紹治帝陵の配置計画(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1-162,2001.9

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
「勤政殿の復元的研究(I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2)」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3-164,2001.9

中沢信一郎,中川武,西本真一,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
「フエ遺跡保存センターの保存活動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3)」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5-166,2001.9

坂本忠規,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白井裕泰,六反田千恵
「フエ周辺地域の伝統的住居の形式分類とその表現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4)」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7-168,2001.9

白井裕泰,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六反田千恵
「ニャットレー81番住宅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5)」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9-170,2001.9

一ノ瀬裕行,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高野恵子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5・肇祖廟における木部彫刻部位とその特徴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1-172,2001.9

六反田千恵,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6・元渦紋形状の分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3-174,2001.9

斉藤潮美,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六反田千恵,高野恵子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7・漆塗り技法「ソン・ソン・テップ・ヴァン」の作業工程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5-176,2001.9

山口亜由美,中川武,西本真一,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白井裕泰
「伊東忠太のヴィエトナム調査旅行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4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7-178,2001.9

竹村基,中川武,中沢信一郎,土屋武,白井裕泰,坂本忠規
「天授宮・孝陵・昌陵の配置計画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0)」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1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21-524,2002.3

一ノ瀬裕行,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土屋武,坂本忠規,六反田千恵,高野恵子
「フエ・阮朝建築遺構群の細部意匠研究8・ケオの形状と彫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1)」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1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25-528,2002.3

小木曽浩一,中川武,白井裕泰,土屋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
「一棟式宮殿建築の設計方法の分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1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29-532,2002.3

坂本忠規,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土屋武
「阮朝漢喃史料における建築の記述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1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33-536,2002.3

中沢信一郎,中川武,白井裕泰,土屋武,坂本忠規
「『大南會典事例』「工部」にみられる建築と都市の記述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1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37-540,2002.3

中川武,土屋武,坂本忠規,中沢信一郎,白井裕泰,六反田千恵
「勤政殿の復原的研究(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5)」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659-660,2002.8

坂本忠規,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
「1947年の被災状況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661-662,2002.8

中沢信一郎,中川武,坂本忠規,白井裕泰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663-664,2002.8

山口亜由美,白井裕泰,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
「史料にみられる木造架構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665-666,2002.8

佐野記士,中川武,坂本忠規,白井裕泰,中沢信一郎
「午門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5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667-668,2002.8

白井裕泰,中川武,坂本忠規,中沢信一郎
「グエン・ホアン1/4番地住宅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669-670,2002.8

六反田千恵,高野恵子,齋藤潮美,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白井裕泰
「フエ・阮朝建築遺構の細部意匠研究8 意匠形状による大梁木鼻(ダウ・チェン)の分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671-672,2002.8

齋藤潮美,中川武,坂本忠規,白井裕泰,高野恵子,中沢信一郎,六反田千恵
「フエ・阮朝建築遺構の細部意匠研究9 日本とヴィエトナムの生漆生産過程における比較考察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2)」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673-674,2002.8

中沢信一郎,中川武,坂本忠規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01-504,2003.3

阿部令,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I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05-508,2003.3

松岡裕佑,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紹芳園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09-512,2003.3

坂本忠規,中川武,中沢信一郎
「紫禁城東南区域の復原考察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6)」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13-516,2003.3

佐野記士,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午門について(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7)」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17-520,2003.3

中村泰一,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坂本忠規
「顯臨閣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8)」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21-524,2003.3

伊藤亮,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靜明樓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69)」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25-528,2003.3

清末隆廣,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ものさしについて(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0)」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29-532,2003.3

荻原千聡,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都市図にみられる仏領期の市街の構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1)」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33-536,2003.3

小島悠揮,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フエにおける墓の構成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2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37-540,2003.3

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中村泰一
「乾成宮の復原的研究(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3)」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201-202,2003.9

中村泰一,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乾成宮の復原的研究(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4)」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 F-2,pp. 203-204,2003.9

中沢信一郎,中川武,坂本忠規,林英昭,中村泰一
「史料にみられる京城(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5)」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 F-2,pp. 205-206,2003.9

坂本忠規,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中村泰一
「ケオの技法(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 F-2,pp. 207-208,2003.9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中村泰一
「隆安殿について(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 F-2,pp. 209-210,2003.9

齋藤潮美,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
「表徳殿の内部塗装状況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 F-2,pp. 211-212,2003.9

中村泰一,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佐々木昌孝,林英昭,安岡義文
「乾成宮の復原的研究(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79)」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49-552,2004.3

佐々木昌孝,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中村泰一,安岡義文
「乾成宮の復原的研究(I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0)」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53-556,2004.3

安岡義文,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佐々木昌孝,林英昭,中村泰一
「乾成宮の復原的研究(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1)」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57-560,2004.3

坂本忠規,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フエ遺跡群に関する写真資料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61-564,2004.3

荻原千聡,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勤政殿の復原的研究(V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65-568,2004.3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
「隆安殿について(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69-572,2004.3

大塚健司,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ヴィエトナムにおけるヴォーバン式城塞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73-576,2004.3

阿部令,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6)」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77-580,2004.3

小島悠揮,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フエにおける墓の構成(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7)」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81-584,2004.3

清末隆廣,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ものさしについて(I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8)」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3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585-588,2004.3

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レ・ヴィン・アン
「乾成宮の復原的研究(V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8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549-550,2004.8

レ・ヴィン・アン,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乾成宮の復原的研究(V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551-552,2004.8

中沢信一郎,中川武,坂本忠規,林英昭,レ・ヴィン・アン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V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553-554,2004.8

坂本忠規,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レ・ヴィン・アン
「宮殿の木造架構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2)」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555-556,2004.8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レ・ヴィン・アン
「隆安殿について(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3)」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557-558,2004.8

白井裕泰,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レ・ヴィン・アン
「隆徳殿における反り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4)」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559-560,2004.8

松島彩,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レ・ヴィン・アン
「乾成宮の復原的研究(V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73-376,2005.3

レ・ヴィン・アン,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松島彩
「乾成宮の復原的研究(IX)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6)」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77-380,2005.3

坂本忠規,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勤政殿の復原的研究(V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7)」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81-384,2005.3

荻原千聡,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勤政殿の復原的研究(V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8)」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85-388,2005.3

阿部令,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V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99)」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89-392,2005.3

中沢信一郎,中川武,坂本忠規,林英昭,阿部令
「史料にみられる京城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0)」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93-396,2005.3

大塚健司,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史料にみられる京城 I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1)」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97-400,2005.3

小島悠揮,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謙陵の配置計画(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01-404,2005.3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小島悠揮
「和謙殿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05-408,2005.3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レ・ヴィン・アン
「伝統住宅の設計技術(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09-412,2005.3

清末隆廣,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レ・ヴィン・アン
「伝統住宅の設計技術(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4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13-416,2005.3 /p>

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LE VINH AN
「乾成宮の復原的研究(X)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459-460,2005.9

中沢信一郎,中川武,林英昭,レ・ヴィン・アン,大塚健司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V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461-462,2005.9

白井裕泰,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隆徳殿の柱内転び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463-464,2005.9

大塚健司,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 IX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09)」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33-436,2006.3

丸岡忠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乾成宮の復原的研究(X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0)」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37-440,2006.3

レ・ヴィン・アン,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林英昭
「乾成宮の復原的研究(X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1)」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41-444,2006.3

坂本忠規,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小島悠揮
「勤政殿の復原的研究(IX)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45-448,2006.3

蟹井千織,中川武,白井裕泰,中沢信一郎,林英昭
「二棟連棟式宮殿の平面計画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49-452,2006.3

小島悠揮,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謙陵の配置計画(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53-456,2006.3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レ・ヴィン・アン
「伝統住宅の設計技術(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57-460,2006.3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レ・ヴィン・アン
「伝統住宅の設計技術(I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6)」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61-464,2006.3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坂本忠規,レ・ヴィン・アン
「伝統住宅の設計技術(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7)」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5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465-468,2006.3

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レ・ヴィン・アン
「 乾成宮の復原的研究(XIII) 大宮門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277-278,2006.9

レ・ヴィン・アン,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乾成宮の復原的研究(XIV) 勤政殿基壇外装材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1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 pp. 279-280,2006.9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レ・ヴィン・アン
「伝統家屋の設計技術(VI) 部材番付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 281-282,2006.9

福山拓図,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資料にみられる京城 V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1)」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6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69-372,2007.3

大塚健司,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京城の配置計画について X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6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73-376,2007.3

綿貫志野,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木谷建太

「南郊壇の配置計画について 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6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77-380,2007.3

綿貫志野,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南郊壇の配置計画について 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6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81-384,2007.3

レ・ヴィン・アン,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腋尺について(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6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85-388,2007.3

蟹井千織,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ケオの技法(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6)」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6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89-392,2007.3

齋藤潮美,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昌陵・表徳殿の漆下地修復技法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7)」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6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93-396,2007.3

中川武,大塚健司,福山拓図,中沢信一郎,林英昭
「史料にみられる京城 VI 水利構造の歴史的特質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8)」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69-170,2007.8

レ・ヴィン・アン,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トゥォックサーム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2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1-172,2007.8

林英昭,中川武,中沢信一郎,レ・ヴィン・アン
「伝統住宅の設計技術(VII) クァンナム地方の柱番付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3-174,2007.8

齋藤潮美,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昌陵・表徳殿の柱塗膜劣化状況と保存修復の現状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75-176,2007.8

福山拓図,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鎭平臺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7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289-292,2008.3

綿貫志野,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南郊壇の配置計画について 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7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293-296,2008.3

藤木大介,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阮朝の仏領期宮殿建築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7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297-300,2008.3

レ・ヴィン・アン,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腋尺について(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7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01-304,2008.3

木谷建太,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阮朝漢喃史料における建築の記述 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6)」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7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05-308,2008.3

蟹井千織,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ケオの技法(III)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7)」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7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09-312,2008.3

齋藤潮美,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阮朝紫禁城長廊の漆塗りの修復技法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8)」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7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 313-316,2008.3

レ・ヴィン・アン(早稲田大)・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宮殿の基壇葛石について ベ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39)」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37-138,2008.8

齋藤潮美(早稲田大大学院)・中川武・中沢信一郎・林英昭
「考陵・顯徳門の塗膜劣化状況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 その140」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39-140,2008.8

林英昭(早稲田大)・中川武・中沢信一郎・レ・ヴィン・アン
「ヴィエトナム北部のディンの設計技術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1)」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F-2,pp.141-142,2008.8

富澤 明・中川 武・中沢信一郎・林 英昭・木谷 建太
「阮朝漢喃資料における建築の記述Ⅲ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8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9040,2009.3

藤木 大介・中川 武・中沢信一郎・林 英昭・木谷建太
「阮朝仏領期市街建築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8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9041,2009.3

綿貫 志野・中川 武・中沢信一郎・林 英昭・木谷建太
「南郊壇の配置計画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4)」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8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9042,2009.3

大瀧敬久・中川 武・中沢信一郎・ 林 英昭・木谷建太・レ・ヴィン・アン
「勤政殿の復原的研究(Ⅹ)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5)」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8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9043,2009.3

レ・ヴィン・アン , 中川 武 , 中沢 信一郎 , 林 英昭
「阮朝勤政殿の基壇に関する復原研究」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73(632)』pp.2241-2248,2008.10.30,査読有

金山恵美子・中川武・林英昭・木谷建太
「二連棟式宮殿梁行断面の設計方法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8)」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9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645-648.2010.3

谷口しおり・中川武・林英昭・木谷建太
「『大南會典事例』「禮部」にみる儀礼と建物の関係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9)」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9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649-652.2010.3

富澤明・中川武・林英昭・木谷建太
「阮朝漢喃資料における建築の記述Ⅳ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50)」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9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653-656.2010.3

六反田千恵・ 中川武・林英昭・木谷建太
「ドゥオイ・ケオのプロポーション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51)」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9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657-660.2010.3

齋藤潮美・中川武・林英昭・木谷建太・六反田千恵
「太和殿と孝陵崇恩殿の柱塗装文様について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52)」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9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661-664.2010.3

藤木大介・中川武・林英昭・木谷建太
「阮朝仏領期宮殿建築についてⅡ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53)」
『日本建築学会関東支部 2009年度 研究発表会 研究報告集II』,pp.665-668.2010.3

林 英昭 , 中川 武 , レ・ヴィン・アン
「ベトナム中部地域の伝統木造建築の部材番付」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74(643)』pp.2107-2114,2009.9,査読有

林 英昭 , 中川 武 , レ・ヴィン・アン , 木谷 建太
「思陵宮門の塗装状況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7)」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pp.37-38,F-2,2009.8,査読無

林 英昭 , 中川 武 , レ・ヴィン・アン , 木谷 建太
「フエの伝統家屋における間竿の利用 ヴィエトナム・フエ阮朝王宮の復原的研究(その146)」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pp.35-36,F-2,2009.8,査読無

林 英昭 , 中川 武 , レ・ヴィン・アン
「梁行架構組の主要部材の設計 ベトナム中部の伝統家屋の設計技術の特質(その2)」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74(642)』pp.1885-1894,2009.8,査読有

林 英昭 , 中川 武 , レ・ヴィン・アン


「伝統的設計技術における屋根勾配と平面寸法 ベトナム中部の伝統家屋の設計技術の特質(その1)」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74(638)』pp.945-954,2009.4,査読有